본문 바로가기
공부

의무기록의 역사

by Sieat 2024. 2. 15.

아래의 각각의 시기에 있어서 의학의 역사상 또는 의무기록의 역사상 중요한 사건이나 인물을 기술하시오.

 

이집트 시대 : 임호텝 / 최초의 의무기록

그리스 시대 : 에스케퓰러스 / 히포크라테스의 탄생, 선서 저술 /

그리스. 로마 시대 : 황제를 치료한 갈렌 동맥의 기능을 처음으로 인지, 담석증의 통증에 대한 이론을 발표, Romana Acta Diurna 라는 최초의 의학잡지가 발행

문예부흥 시대 : Andreas Vesalius가 처음으로 사형수의 시체를 가지고 인체해부를 시행, 해부학 책을 저술(Fabrica)

17세기 : 의사의 지시사항을 처음으로 기록. Captian Jhon Graunt(보건통계의 아버지)가 런던의 사망 일람표를 발표 처음으로 의료통계의 개념을 대두

19세기 : 보스턴의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개원. 최초의 의무기록 사서인 Mrs. Grace Whiting Myers를 채용 후에 북미주 의무기록협회 초대회장이 됨

 

 

2. 다음의 연도들은 미국이나 우리나라 의무기록 분야에서 어떤 의미를 가진 해인가?

 

1918년병원표준화사업 1928년북미주의무기록사서협회

1932년미국의무기록협회 자격시험 1935년의무기록사서교육과정

1952년표준화 인가제도 등장 1977년박제윤 초대 의무기록협회장

1982년의료기사법 등장

 

 

3. 다음에 해당하는 사람이나 기관의 이름 또는 해당 명칭을 쓰시오.

최초의 의무기록 사서 : Mrs. Grace Whiting Myers

의학의 아버지 : 히포크라테스

역사적으로 최초의 의사 : 임호텝

역사적으로 최초의 정식 의무기록지 : Papyrus Ebers

지팡이와 그 주위의 꼬인 뱀으로 상징되는 인물 : Mercury (헤르메스)

의무기록과를 최초로 창설한 병원 :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최초로 의무기록사서를 채용한 병원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우리나라 병원 표준화 심사를 주관하는 기관 : 대한병원협회

의료통계의 개념을 최초로 불러일으킨 사람 : Captian Jhon Graunt

문예부흥기의 해부학의 대가 : Andreas Vesalius

 

4. 20세기에 미국 의무기록의 발전을 가져온 사건들을 시기 순으로 나열하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1913. 미국외과학회의 창설 외과 전문의 응시자들의 진료업무 평가를 위하여 그가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사본 50매와 요약기록 50매를 제출하도록 요규하였다.

1918. 병원 표준화 사업을 시작 병원은 모든 환자에게 정확하고 완전한 기록을 작성하고 찾기쉬운 방법으로 보관, 관리하라.

1928. Mrs. Grace Whiting Myers를 초대 회장으로 하는 북미주의무기록사서협회가 조직.

1932. 미국의무기록협회가 주관하는 자격시험이 시작

1935. 의무기록사서 교육과정이 4곳에 개설

1952. 병원신임합동위원단의 조직. 표준화 제도에서 인가 제도로 바뀜

1953. 의무기록사 교육과정이 개설

메디케어 서비스(65세 이상의 노인에게 국가가 의료서비스를 부담해주는 것)

1983. 미국의 PL 98-21법안. 진단명별 환자군의 등장.

 

 

5 6

RHIA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하는 행정가 자격증이다.

RHIT

2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하는 실무자 자격증이다.

 

 

 

10. 우리나라 의무기록의 발달 과정

1884년 광혜원의 닥터 호렌스 알렌의 질병통계 > 1962년 닥터 호렌스 머레이의 원주기독병원의 단일번호제도(의무기록의 체계 > 의학기술수련원에서 의무기록사서 과정 개설 > 1966년에 의무기록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첫 강습회 > 1977621일 대한의무기록협회가 사단법인체로 인가를 받음 초대 협회장 박제윤 > 1982년 의료기사법이 개정 > 1985년부터 연 1회 국가면허시험 실시 > 1981년 병원 표준화 사업 실시 > 1997DRG제도 도입

 

14. 대한의무기록협회가 사단법인체로 인가받은 해 : 19776. 21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의 원인과 치료법, 증상  (0) 2024.02.16
의무기록의 번호 부여제도  (0) 2024.02.16
의무기록의 정의와 그 용도  (1) 2024.02.15
4차산업혁명과미래사회  (0) 2024.02.15
간암의 치료법  (1) 2024.02.15